(파르페) 카토레아 뜻을 찾아서...

2021. 3. 5. 03:08카테고리 없음

"그 놀림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받았으니까 아무렇지도 않아!"

 

파르페의 히로인 카토리 레아의 별명 "카토레아".

 

하지만 본편에서는 별도 자료나 주석을 통해 뜻을 풀이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별명이 "카토레아"인것 까지는 알고 있는데 "카토레아"의 뜻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모르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사실 저 또한 그랬고요. "아니 도대체 무슨 뜻이길레 이렇게 화를 내는 거야?" 라고 생각한 지 15년째...)

 

그래서 마침 번역 작업을 하는 겸, 파르페 본편의 원문도 뜯어볼 겸,

"카토레아"의 원문부터 찾아보았습니다.

 

 

히토시(仁) : 「カトレア?」

원문은 가타카나로 カトレア입니다.

 

발음 역시 한글 패치판과 똑같은 "카토레아" 맞네요.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무슨 뜻인지는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사전을 열어 보았습니다.

 

 

カトレア의 사전적 번역명은 카틀레야 꽃을 뜻하는 말이네요. (カトレヤ도 혼용)

 

ㄹ 받침이 없는 일본어 특성상 도나루도 마꾸도나루도

Cattleya를 읽을 때 한국말으로는 "카틀레야"로 읽는데 반해,

일본말으로는 ㄹ받침 없이 가타카나로 카토레아(カトレア)로 발음이 됩니다.

 

때문에 우타마루 번역에서도 역시 원문을 살려서 "카토레아?"(カトレア?) 로 번역한 것이 아닐까 싶네요. (⚡번개)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레아가 왜 그렇게까지 화를 내는지, 크게 와닿지 않습니다.

 

 

"아니 예쁜 꽃 이름인데 뭐가 문제야?" 라는 물음에서 또다시 시작된 궁금증은 예상치 못한 전개로 이어지는데...

 

 

1877년 개업의 카토레아(...)

 

1960년 개업의 카토레아 제과점(...)

 

만약 카토레아의 의미가 이쪽이라면, 레아가 화를 낼만도 하겠다 싶긴 합니다.

(한국으로 치면, 이성당이나 성심당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겠네요.)

 

하지만 이쪽은 실제 상호인 데다,

게임의 초반에 등장하는 펀치라인으로 쓰기엔

 

"과연 플레이어들이 이 개그를 이해를 할 수 있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깁니다.

 

일본의 전 국민들이 다 아는 빵집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지긴 하겠지만

검색 빈도로 봤을 때는 아닌 것 같아 보였습니다.

 

 

(어쨌든 결론)

 

저는 カトレア의 뜻이 카틀레야 꽃이 맞다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또는 정말로 제과점 카토레아와의 중의적 표현을 노렸거나요.

 

 

 

(+여담)

당시 조악했던 번역 툴의 성능으로 인해 "집토끼"라는 해석도 돌아다녔습니다.

家兔(집 가 + 토끼 토)를 직역한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이 해석 상에서는 카토레아가 "집토끼 레아"가 되긴 합니다만...

 

애초에 한국어 한자 발음과, 일본어 한자 발음이 다른데다

일본말으로 토끼는 "우사기"(ウサギ)이기 때문에, 큰 관련성은 없어보입니다.

 

 

(전작인 쇼콜라에서) 다이스케가 사카키바라 씨를 부를 때, "바라 씨"라고 부릅니다.

이 역시 원문은 バラさん (바라상).

 

(그래서 이게 왜 카토레아와 관련이 있는 여담이냐면)

 

バラさん을 직역하자면 장미(バラ) 씨.

 

즉, 레아는 사카키바라 씨로부터 "꽃 이름으로 불리는 기믹을 이어받았다" 라고 해석 할 수 있겠네요.

(카토레아의 뜻이 꽃 이름이라는 것에 힘을 실어주는 장치일지도요.)

 

 

 

쇼콜라 RO, 카토리 레아 출연분 번역판.

쇼콜라 RO, 카토리 레아 출연분 번역판. (카나코 쇼트 스토리) 쇼콜라 RO의 단편 스토리인 "카나코 쇼트 스토리"(香奈子ショートストーリー)에 등장하는 카토리 레아의 출연분을 번역했습

curiochiefmidori.tistory.com

 

쇼콜라 ~메이드 카페 큐리오~ 프롤로그, 영상 번역판

"파르페"의 전작인 쇼콜라 ~메이드 카페 큐리오~의 프롤로그 번역판입니다. 파르페를 플레이해보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큐리오 본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해당 영상은 한

curiochiefmidori.tistory.com